DevOps/Kubernetes

클라우드 아키텍트(Cloud Architect)가 뭘까? 클라우드 아키텍트 정의와 클라우드 아키텍트 5가지 종류를 정리해봤다

Ofglen 2023. 4. 12. 00:36

요 녀석을 목표로 공부하기에 앞서 단어의 정의 하나하나 소화해 보기로 했다~!

 

 

 

클라우드 아키텍트 정의

우선 Architect 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https://www.realrender3d.co.uk/problems-faced-by-every-architect/

Architect는 건축가라는 의미인데 클라우드 아키텍트는 클라우드에서 뭘 설계하고 건축하는 걸까? ⚒️

클라우드 아키텍트란 보안과 효율을 고려해서 고객에게 인프라 서비스를 구축해 주는 엔지니어다. 👷🏻

 

 

음... 건물 설계자를 떠올려봤다.

 

 

백화점을 설계한다고 했을 때 에스컬레이터는 입구와 정반대에 위치해있다 ^^

왜냐면 백화점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전시된 상품을 고객에게 전시하고 구매욕구를 증진시켜야 하기 때문인데

 

클라우드에는 뭐를 신경 써야 할까?

클라우드 건축가(설계자)들은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 중요한 효율이나 보안을 고려해서 클라우드를 설계해주는 일을 한다~!

 

 

 

클라우드 아키텍트 종류

 

클라우드 아키텍트

 

 

1) EA(Enterprise Architect)

전반적인 서비스 아키텍처 구조 설계를 한다.

전체 아키텍트 설계에 대한 책임을 지기 때문에 비즈니스 이해를 바탕으로 IT 향후 장기적인 전략 설계를 기획한다.

 

2) AA(Application Architect)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키텍처 구조 설계를 한다. (ERP 등 IT 솔루션)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업무 관련 로직을 설계한다.

 

3) TA(Technical Architect)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구조 설계를 한다.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한 IT 시스템 환경을 설계하는 것으로

솔루션 시스템 전반에 필요한 네트워크, 서버, 보안,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물리적 환경의 구조를 클라우드 안에서 세팅한다.

 

4) SA(Solution Architect)

솔루션에 대한 아키텍처를 설계한다.

비즈니스 솔루션 및 기술적 솔루션을 모두 제공한다. (데브옵스 환경 컨설팅 및 구축)

 

 

SA vs. DA
SA: 기술적 솔루션만 제공함
DA: 비즈니스 솔루션 + 기술적 솔루션(인프라) 제공함 

 

 

5) DA(Data Architect)

비즈니스 전체의 데이터 아키텍처 설계를 담당한다.

DB 분산 관리, 저장, 사용 등 데이터 전반을 관리한다. (데이터 접근-처리-관리 설계)